목록전체 글 (165)
개발 공부
#행동주의행동주의(영어: behaviorism)는 인간이나 동물의 심리를 객관적으로 관찰과 예측이 가능한 행동들을 통해 연구할 수 있다고 보는 이론이나 관점이다. 1913년 존 브로더스 왓슨이 자신의 심리학 논문에서 처음으로 정의했다.Behaviorism (or behaviourism) is a systematic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behavior of humans and other animals. It assumes that all behaviors are either reflexes produced by a response to certain stimuli in the environment, or a consequence of that individual's his..
알기 쉬운 코어 이더리움 - 일시 : 2018.07.14(토) 10시~ 13시 - 장소 : 동성빌딩 11층 (본사건물) - 주제 : 알기쉬운 코어 이더리움 - 강사 : 박재현소장님(두나무 람다 256 블록체인 연구소 소장) 1. 암호화폐와 블럭체인2. 이더리움 플랫폼 작동 원리3. 블록체인 이코노미4. 기업에서 블록체인 활용5. 이더리움의 현재와 미래 3. 블록체인 이코노미 #Token Economy*사용자-거래소-판매자 *플랫폼 개발자 *채굴자 *Dapp개발자 #암호 이코노미 4. 기업에서 블록체인 사용-빠른 업무 속도-보안성-비용절감 -ICO-직방->contract로 자동화-송금, 결재-증빙 5. 이더리움 현재와 미래-이슈
알기 쉬운 코어 이더리움 - 일시 : 2018.07.14(토) 10시~ 13시 - 장소 : 동성빌딩 11층 (본사건물) - 주제 : 알기쉬운 코어 이더리움 - 강사 : 박재현소장님(두나무 람다 256 블록체인 연구소 소장) 1. 암호화폐와 블럭체인2. 이더리움 플랫폼 작동 원리3. 블록체인 이코노미4. 기업에서 블록체인 활용5. 이더리움의 현재와 미래 2. 이더리움의 작동원리* 이더리움-플랫폼 - 컨트랙 / 비중앙화앱 / 네트워크 배포 / 전용 브라우져 * 플랫폼 참조모델 -공통-동의(census)-실행-데이터-응용 #데이터 계층* Single State transition Model* Account-Bit coin-EOA(Externally Owned Account) EOA -Ethereum 전자서명 ..
알기 쉬운 코어 이더리움 - 일시 : 2018.07.14(토) 10시~ 13시 - 장소 : 동성빌딩 11층 (본사건물) - 주제 : 알기쉬운 코어 이더리움 - 강사 : 박재현소장님(두나무 람다 256 블록체인 연구소 소장) 1. 암호화폐와 블럭체인2. 이더리움 플랫폼 작동 원리3. 블록체인 이코노미4. 기업에서 블록체인 활용5. 이더리움의 현재와 미래 1. 암호화폐와 블럭체인 #소개* 캐즘 마케팅 * 실물화폐 전자화폐 ①일반 전자화폐 ②가상화폐 ③암호화폐 * 목표 : P2P - 중계기관 없이 송금 * 비트코인 연계 기반 기술 연혁표 (추후 업데이트) #원리* As-Is 분석 -은행 송금 거래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분석-이를 중간 중계기관 없이 어떻게 처리할 수 있을까 연구 *누군지확인 | 원장을 분산 |..
장소 : 정부 대전 청사 2동 207호일시 : 18.07.11 10~11:30교육내용 : DB, 시스템 백업, 미들웨어, 네트워크 및 보안 1. DB * 3-Tier -IBM / SUN / HP / 기타 * RAC - active / stand by * 스토리지- Hard Disk -> Flash Disk * 백업-Full back up -cold / hot back up-export/import (오라클 9 이하)-Data Pump (오라클 10 이상)-RMAN - ASM(스토리지 관리 모듈) - 저장하는 형태가 다름 / 파일 이외의 데이터 - 진공백업-Flash Back - undo에 저장 * 복제-share plex agent 상요 실시간 복제 -> OPS / DW구성-MART - 특수 목적에 맞게..
- 일시 : '18.07.06 (금)- 장소 : 대구혁신도시 한국정보화진흥원 본원 1층 세미나실- 대상 : 정보화정책 및 기획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 및 공공기관 근로자- 교육내용 : EA 개념, EA정보등록, 정보화추진역량측정, GEAP 활용 안내, 질의응답 1. EA 개념2. EA 정보등록3. 정보화추진역량 측정 1. EA 개념- EA(Enterprise Architect) - 정보기술 아키텍처- 범정부 메타모델 * 아키텍처- 도시 구축의 infrastructure / 계획 * EA 업무 기준 - As-is -> To-be- 조직의 Mission, 존재하는 이유를 실현 * 6하원칙에 의해 정리- who - 인력- where - network- what - 정보 (데이터) * 역사정보 시스템 -> IT..
●주 제 : 블록체인 기술과 활용●강 사 : 박수용 블록체인연구소 소장 (서강대 교수, 전 NIPA 원장) *블록체인과 거래혁명Ⅰ. 블록체인이란?Ⅱ. 블록체인과 시장변화Ⅲ. 블록체인과 한국의 미래 Ⅰ. 블록체인이란? - 중앙화된 인증기관 없이 신뢰를 보장하는 기술 º 블록체인의 가치 PC 등장 인터넷 등장 블록체인 정보의 소유와 생산 정보의 공유 정보의 신뢰성 확보 º 기술적 배경- P2P 네트워크 -> 거래내역 분산->온라인 네트워크 참가자(노드) 모두에게 공개 및 기록 *비트코인 블럭체인 - 1200개의 노드- 본인의 PC를 누구나 참여시킬 수 있다.- 분산형 거래 시스템 ->무결성 유지-블록체인 시스템->퍼블릭->프라이빗 : 허가된 참여자만 구성 (예 Ahn3CV(?)) º 핵심기술 구성도 이더리움..
java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Main이라는 쓰레드를 생성한다. 프로그램 그 자체로 새로은 쓰레드를 생성할 수 있다. 각각의 쓰레드는 메서드들을 실행하고 그 중 가장 처음이 main() 메서드가 되는 것이다. java Runtime은 각각 실행되는 쓰레드에 stack memory를 생성한다. 각각의 stack frame은 객체를 참조하는 arguments나 local variables를 포함한다. 객체는 java의 "new" 연산자를 통해 생성되며 실행되는 시점(run time_lazily)에 heap메모리에 할당된다. Garbage collection은 프로그램에서 더 이상 참조하지 않는 객체들을 자동으로 정리하는 프로세스이다. Garbage collectors는 어떤 방법을 통해 root nodes에서..
1. JVM의 Heap Memory Area를 도식화 하고 각 영역에 대하여 간단하게 서술하시오JVM의 메모리 구조는 네이티브 메모리에 저장되고 각각 다른 역할을 하는 여러 데이터 영역으로 구성되있다. Heap Memory는 그 중에 모든 class의 instance와 array가 할당되는 곳이다.* 인스턴스는 (new 표현식 = new 생성자) 등으로 생성한 객체 heap은 JVM이 시작함과 동시에 생성되며 모든 JVM 쓰레드에서 공유한다. 자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안 각 쓰레드는 heap에 새로 생성된 객체에 메모리를 할당하다가 객체가 더 이상 사용되지 않으면 할당을 중지한다. 시간이 지날수록 (메모리 용량이 제한된) heap은 unreachable objects로 채워지게 된다. (*unreach..
1. JVM의 Heap Memory Area를 도식화 하고 각 영역에 대하여 간단하게 서술하시오. 2. GC(Garbage Collector)가 기본적으로 Garbage Collection을 수행하는 대상 Object를 선정하는 방식과 Minor/Major GC에 대한 개념과 특징을 기술하시오(//keyword : Reference Chanin - Root Set, Reachability - Reachable/Unreachable, Stop-The-World) 3. Major GC 발생 시, 대다수의 경우 OOM (Out of Memory) Error가 발생하는데, 그 이유와 (원인 아님) JVM 기반으로 운영되는 체계 (WAS, Daemon 등) 구동 시, 이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기술하시오.(//..